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8

[선형대수학] 3. 콜레스키 분해(Cholesky decomposition), 대칭행렬, 정칙행렬 콜레스키 분해를 왜 사용하는가? 양정부호행렬을 하삼각행렬과 그 전치행렬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무슨말인지 어렵죠 ^^;; 하지만 콜레스키 분해는 계산상으로 매우중요합니다. 우선 LU분해에서 걸리는 시간의 절반밖에 안걸린다는 점 게다가 수치상으로 안정적이기에 다른 알고리즘과 비교했을 때 누적되는 오차가 적다는 점 이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단점도 있다. 단점은 아직 저도 찾지 못했습니다. 아시는 분은 리플을^^;; 이게 어디에 사용되는지 알아보자! 최적화 문제의 답을 수치해석적으로 구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목적함수가 터무니 없이 이상하게 생기지 않으면 가중최소제곱법을 반복하여 답을 구할 수가 있습니다. 이때 가중최소제곱의 답을 구할 때 콜레스키 분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 2010. 11. 16.
[선형대수학] 2. 행렬식, Sarrus 전개, 여인수 전개, 소행렬식 ??? 행렬식. 행렬식. 행렬식. 행렬식. 공대생이라면.. 지겹도록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행렬식이 무엇이냐 ? 물어보면 대답할 줄 아는 사람은 몇명 없다. 그냥 행렬식은 익숙하나 정확한 개념이 안잡혔기 때문에. 나 역시도 모르기때문에 이렇게 행렬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려고 한다. 자 그럼 행렬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ㅋ 행렬식 [行列式] determinant 보통 det 라 많이 부르는 행렬식의 정의를 보면 ? G.W 라이프니츠 가 연립방정식의 해법의 연구에서 고안한 것으로, 대수학에서 n형과 n열의 정방행렬 A와 관련된 식을 일컫는다. 단지 연립방정식을 구하기 위해서 이것을 만들었다는 건가 ㅡㅡ 그냥 구하면 되지 왜 구지 행렬이란것을 만들어서 사용하니 ? 우리는 미지수가 2개의 연립방정식은 풀기 쉽지만 , 만.. 2010. 11. 15.
[과학 상식] 나의 체온은 정상일까 ? 체온 1도를 높이면 면역력이 5배 높아진다 ?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히포크라테스의 전집에서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다고 한다. " 자연적으로 낫지 않는 병은 약을 쓰고, 약으로 안 되는 병은 수술로 하고, 수술로 안 되면 열로 다스려라" 수천 년이 지난 지금, 실제 일선 대학병원 외과에선 치료 불가능한 암 환자에게 열을 가해 암세포를 죽이는 온열 치료가 쓰이고 있다. 면역세포를 비롯한 일반 세포는 체온보다 높은 섭씨 37~38도에서 가장 활성화되고, 47도 정도까지 죽지 않지만, 암 세포는 약 43도에서 사멸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치료가 아니더라도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몸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사도 있다. 현대인의 몸이 예전보다 차가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희대동서신의학병원 사상체질과 .. 2010. 11. 9.
[Daily] 내 꿈을 향하여 ! - 나의 목표를 향하여 그리고 내 꿈을 향해 - 저 인생에 있어 또한 번의 시련이 왔었습니다. 8 9 10월 나의 방황기... 남들과 비교했을때 뒤쳐졌다는 마음이 저를 이렇게 했나 봅니다. 하지만 저의 은사님 께서 이런말을 하더군요 "고속도로에서 너가 80 Km로 달리나 150Km로 달리나 남들은 모른다고 중요한 것은 도착한것이지 너가 얼마나 빨리 왔는지는 관심이 없다" 한동안 저의 꿈을 잊고 바로 앞만 생각 하였습니다. 이제는 저의 꿈만 생각하고 저의 꿈을 향하여 바로 앞에 있는 목표부터 실천 해볼렵니다. 아자 아자~! 화이팅 2011년 10월 23번째 날 이야기 2010. 10. 23.
[Grammer] 명사 명사 #1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명사에 대하여 알아보자 ! 영어에서 명사가 나오면 생각할 것은 수와 주먹보 2가지이다. 1. 주먹보 (주목보) 2. 수 그렇다면 주먹보(주목보) 이게 뭘가? 그렇다 명사가 들어갈 수 있는 자리이다. 명사가 들어갈 수 있는 자리는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에 들어 갈 수 있다. 이를 가장 먼저 확인하라 ! 이를 확인 했다면 다음 단계로 수를 확인하라 확인해야 할 수는 무엇일까? 그렇다 눈치 챘을 것이다. 단수 / 복수 를 확인하는 것이다. 단수는 a / an + N (명사 앞에 부정관사 a 나 an) 복수는 -s / -es (명사 뒤에 s나 es) 이건 요즘 초등학생도 다 알고 있다. 이와 같이 셀수 있는 명사를 가산명사라 한다. 가산명사는 셀수 있기 때문에 단수 인지 복.. 2010. 9. 7.
[Android] 멀티미디어 이용하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0. 9. 7.
반응형